ATOM코인(4)
-
[신규상장코인] 옴니네트워크코인(OMNI)의 이해와 전망
옴니네트워크코인(OMNI)이란? 옴니 네트워크코인(OMNI)은 이더리움 기반의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로, 모든 롤업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사용자 상호 운용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Cosmos SDK를 기반으로 하며, 이더리움의 검증인에 의해 보호됩니다. 옴니 네트워크는 이더리움의 보안과 코스모스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결합하여, 이더리움 롤업 생태계와의 교차 롤업 통신 및 글로벌 호환성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입했습니다. 옴니네트워크코인(OMNI)의 특징 1.이더리움 기반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 옴니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보안, 성능, 글로벌 호환성을 강화하는 모듈식 프로토콜입니다. 2.Cosmos SDK와 Eigenlayer: Cosmos SDK를 기반으로 ..
2024.05.03 -
[신규상장코인] 제타체인코인(ZETA)의 이해와 전망
제타체인코인(ZETA)이란? 제타체인(ZetaChain, ZETA)은 모든 블록체인과 레이어에 대한 연결성이 내장된 스마트 컨트랙트 및 레이어 1(L1)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ZETA는 제타체인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옴니체인 스마트 계약 레이어와 내부 거래를 위한 가스로 사용됩니다 제타체인코인(ZETA)의 특징 1.옴니체인 스마트 계약: 개발자는 ZetaChain에서 EVM(Ethereum Virtual Machine) 호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체인에서 자산, 데이터 및 유동성에 액세스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ZetaEVM(zEVM) 및 ZRC-20 표준: 이를 통해 비트코인과 같은 기본 스마트 계약 기능이 없는 블록체인에도 스마트 계약을 제공합니다...
2024.05.03 -
[오늘의코인] 맵프로토콜코인(MAP)의 이해와 전망
맵프로토콜코인(MAP)이란? 맵프로토콜코인(MAP)은 분산형 블록체인 DApp의 구동을 연계하는 기술로, 중앙화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DApp 간의 연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속에서 연결해주며, 거버넌스, 사물인터넷, 금융시스템 관리 등의 체인 별 고유 기능을 하나로 묶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맵프로토콜은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DApp 상호 간의 호환성을 높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맵프로토콜코인(MAP)의 특징 1.상호 운용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각 체인의 자원과 기능을 통합합니다. 2.거버넌스: 구성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중요한 사..
2024.03.14 -
[심층분석] 코스모스(ATOM)코인의 이해와 전망
코스모스란? 코스모스는 탈중앙화 방식으로 이종의 블록체인을 연결 및 상호 운용 가능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코스모스는 연결된 블록체인의 생태계를 제공하여 비트코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느리고, 비싸고, 확장이 어려우며 환경적으로 유해한” 작업 증명 프로토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코스모스는 창립팀으로부터 ‘블록체인 인터넷’으로 불리며 블록체인 중심의 인터넷 버전인 다음 버전의 인터넷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더리움의 공동 창업자인 비탈릭 부테린조차 코스모스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한 영감으로 보고 있습니다. 코스모스의 다른 목표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해체하는 모듈형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개발자들에게 좀 덜 복잡하고 덜 어려운 블록체인..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