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Analytics
View My Stats

[심층분석] 이더리움 네임서비스(ENS)코인의 이해와 전망

2023. 3. 28. 13:41투자정보

반응형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란?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분산 개방형 네이밍 시스템입니다.  
ENS는 xxx.eth와 같이 인간 판독 가능 이더리움 주소를 메타마스크 등의 지갑에서 알고 있는 기계 판독 가능 영숫자 코드로 변환합니다.
사실 블록체인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는 ‘0x39 hgb8 fb9…f3dv’와 같이 사람이 알아보기 힘든 긴 주소 체계 때문입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주소는 항상 “0x“로 시작합니다. 
이렇게 알아보기 힘든 주소를 읽기 쉽고 외우기 쉬운 지갑 주소로 별칭을 지어 줄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ENS입니다.
“name.eth”와 같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주소를 “0 xd0 eAf74 B8 c5 bF457 C7 a81 c3 fe277 ADb6 Ed32 DCF4″처럼 긴 16진수 문자열에 매핑하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개인화된 ENS 주소는 사용자가 인간 친화적인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암호화폐 펀드와 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ENS 도메인은 웹3의 유저네임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암호화폐 지갑, 웹사이트, 콘텐츠 해시,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는 모든 암호화폐 지갑을 하나의 ENS 도메인 아래에 연결하고 암호화폐나 NFT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ENS를 사용하면, batman.eth 또는 cinderella.eth 등의 도메인을 구매하여 “0x3 bsfjbk234 basf8 iwerb….” 같은 이더리움 지갑 주소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제 결제금을 수령할 때마다 복잡한 지갑 주소 대신 ENS 도메인을 공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ENS 주소는 ERC-721 토큰 표준을 사용하여 NFT로 발행되기 때문에 NFT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비싼 ENS 주소는 paradigm.eth로 당시 411 ETH(당시 한화 약 28억 원)에 판매되기도 하였습니다.


ENS 탄생배경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분야의 모든 기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은 여전히 이전 IP 주소 설정과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암호화폐를 보내려면 긴 문자열의 암호화폐 지갑 주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주소를 기억할 가능성이 매우 낮고, 또한 블록체인 트랜잭션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좋은 생각도 아닙니다. 
잘못된 주소로 자금을 보내면 절대 돌려받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작업의 난이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더리움(ETH) 주소의 모양을 보면 다음과 같다. 0xd0eAf74B8c5bF457C7a81c3fe277aDb6Ed32DCF4
이것은 42자로 된 긴 문자열로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지갑의 공개 주소로 불립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주소는 항상 “0x“로 시작하기 때문에 인식이 가능합니다.
블록체인 주소 보유와 사용의 주요 이슈는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어렵고 암호화폐 지갑 주소를 잘못 입력해 자금을 잃을 위험이 높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중요한 사실은 대부분의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아직 기술에 익숙하지 않고 이제 막 탐구를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실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들 중 일부는 끝없이 이어지는 기나긴 문자열을 다루어야 하는 것을 미루게 될 것입니다.


ENS VS DNS

DNS(도메인 네임 서비스)
인터넷 초창기에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알파벳으로 된 도메인 주소를 쓰는 게 아니라 ‘192.250.42.11’와 같은 형태의 IP주소를 입력했다고 합니다. 다행스럽게도 컴퓨터 과학자들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연결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 투자하여 도메인 이름을 개발했습니다.
DNS(Domain Name System), 즉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 만들어져서 숫자로 된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 줍니다.  웹사이트에 들어갈 때 DNS로 읽기도 쉽고 기억하기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google.com 저럼 합니다.
하지만 DNS는 Web2에 적합합니다.
웹 3(Web3)에는 더 개선된 형태의 더 탄력적이며 탈중앙화 된 대안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몇몇 Web3 선구자가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를 선보였습니다.
ENS와 DNS의 차이
초기에 Web2에서 IP 주소를 사용하던 방법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및 Web3에서는 지갑 주소 또는 트랜잭션 해시처럼 영문과 숫자가 혼용된 긴 문자열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가 등장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DNS는 웹2.0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이 일부라면, ENS는 이더리움에서 고유한 주소 또는 이름을 NFT로 만들어 등록하는 플랫폼의 이름이자 코인의 이름입니다.
또한 ENS와 DNS의 차이는 기본적인 아키텍처에서 기인합니다. 
ENS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제하는 중앙화된 주체가 없는 탈중앙화 네트워크입니다. 
또한 ENS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자동화된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운영하고 제어해야 하는 시스템을 대체합니다.
아울러 DNS는 IP 주소를 URL로 알려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는 이더리움 주소를 URL 형식으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열로 변환하는 것으로, 두 기능 모두 전화번호부와 유사합니다. 
전화번호부에서 사람의 이름을 찾아보고 그들과 연락할 수 있는 번호를 찾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ENS 도메인 확득 방법

https://ens.domains/ko/ 에 들어가 앱 실행하기를 클릭합니다. 
새 창이 열리면 주소를 검색하는 창에 원하는 주소, 도메인 이름을 검색합니다. 
내가 원하는 이름을 남들이 선점하지 않았다면,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하고 이름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처음 등록일 경우 등록 연회비를 지불해야 하며,  ENS 도메인 이름 개수에 따라 연회비도 다릅니다. 짧은 이름은 가격이 비쌀 수 있습니다. 
모든 수수료는 ETH로 지불됩니다. 
도메인 이름이 만료되어 계속 소유하려면 인터넷 도메인 네임처럼 계속 배용을 내야 합니다.
1년 유지 비용으로 3글자. eth는 약 50만 원 4글자. eth는 약 15만 원, 5글자 이상. eth는 약 5천 원 정도입니다. 
개인적으로 3~4글자 서비스 금액이 다소 비싸게 책정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5글자 이상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등록 가능합니다.  
나중에 이더리움이 활성화 되었을 때를 생각하며 미리 몇 개 등록해 보는 것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ENS 구매 방법

1단계: app.ens.domains로 이동하여 왼쪽 상단에 있는”지갑 연결” 버튼을 클릭하고 선호하는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합니다.
2단계: 검색 탭에서 갖고 싶은 .eth 도메인을 검색합니다.
3단계: 아직 해당 도메인을 구매한 사람이 없다면, ENS는 해당 도메인을 “사용 가능”으로 표시합니다
4단계: 도메인 이름을 클릭하면 등록 페이지로 안내됩니다. 
도메인을 등록하고자 하는 기간을 연 단위로 추가하고, 트랜잭션의 세부 사항을 확인한 다음 등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5단계: 연결된 지갑에서 트랜잭션을 승인하는 요청을 받습니다. “확인”을 눌러 트랜잭션을 승인합니다.


ENS 코인

ENS는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의 거버넌스 토큰이며 프로토콜을 관리하고. eth 주소와 프라이스 오라클의 가격 책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ENS DAO는 ENS 토큰을 사용하여 커뮤니티에 의해 완전히 관리되고 제어됩니다. 
ENS 코인은 사용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투표를 통해 프로토콜의 향후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ENS 토큰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ENSDAO에 관한 제안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다른 DAO와 마찬가지로 거버넌스 투표 없이는 프로토콜의 어떠한 변경도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토큰 배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50% 커뮤니티 재무(ENS DAO)
* 25% .eth 보유자에게 [에어드롭]
* 25% ENS 기여자
개발자들은 토큰을 ENS 도메인이 있는 지갑에 분배했습니다. 
할당은 사용자가 ENS 도메인을 소유한 시간의 길이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사용자들은 에어드롭으로 수만 달러 상당의 토큰을 받을 수 있었던 반면, 오랫동안 존재해 온 도메인 소유자들은 훨씬 더 많은 할당량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NS 코인의 전망

ENS에는 고정된 공급량이 있습니다.
이 토큰은 매우 매력적인 사용 사례인 거버넌스 권한을 제공합니다.
커뮤니티 트레저리를 만드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복수의 거래소 상장과 거래 쌍을 통해서 유동성을 증가시킵니다.
대규모 매각을 피할 수 있는 선형베스팅을 가진 커뮤니티가 지배하는 토크노믹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2년 3분기는 원시 수치 측면에서 ENS 도메인에서 최고였습니다. 
이더리움 네임서비스는 현재 ETH 가격 기준 매출액 기준 1만1875ETH를 기록, 2022년 2분기를 30% 앞섰습니다. 
심지어 도메인 등록도 2022년 3분기에 111만7천862개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2022년 2분기와 비교해 71% 성장한 수치입니다.
시장 침체와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이 바닥을 뚫고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ENS 수익은 증가했습니다. 
다만 USD 수치로는 등록 수익이 27% 감소한 반면 갱신 수익은 66% 증가했습니다.
등록 수가 71% 증가한 반면, 갱신 수는 2022 년 2분기 대비 200% 증가했습니다. 
이 통계는 사용자들이 새로운 도메인을 얻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고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Web3은 지난 3년 동안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으나, 현재 ENS에만 1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약 300,000개의 도메인을 등록했습니다. 
이는 Web3에 존재하는 수많은 네이밍 서비스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이더리움의 우세를 고려할 때, Web2에서 .com 도메인이 그러했듯 Web3에서도. eth 도메인이 널리 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src="https://www.statcounter.com/counter/counter.js " 비동기>